티스토리 뷰

반응형

실신의 정의와 특징

- 정의 : 부적절한 뇌혈류의 공급으로 인해 갑작스럽고 일시적으로 의식소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신과 발작을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신은 발작에 비해 보통 실신 전 증상( 머리가 멍해지는 느낌, 터널 시야나 일시적 시력상실 등)이 있으며, 경련 움직임이 없고, 발작 후에 나타나는 혼미 상태를 동반하지 않습니다. 쓰러지고 나서 잠시 후에 정신을 차리기 때문에 의식소실 시간이 짧다는 점이 발작과 다릅니다. 여러 가지 검사에도 불구하고 실신의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실신의 원인 중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심인성 실신 및 저혈량성 쇼크의 동반 유무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특징

  = 실신의 원인 : 심인성, 저혈량성 쇼크, 뇌졸중, 혈관미주성, 상황성(Situational), 체위성 저혈압, 저혈당, 저산소증, 약물중독

  = 혈관미주성 실신의 경우 보통 실신 전 전구증상이 선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실신 전 전구증상 : 어지러움, 하품, 오심, 발한, 복부 불편감, 흐릿한 시야(친구도 혈관미주성 실신이 있는데 보통 시야가 흐릿해지면서 어지럼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운전을 못한다고 합니다.)

실신환자 평가 및 응급처치 방법

- 병력청취

  = 심장성 실신을 구별할 수 있는 병력 청취 : 부정맥의 여부

  = 두통, 신경학적 증상, 어지럼증, 두근거림, 흉통, 발한, 구역/구토, 식은땀, 저혈압 등의 증상 동반 여부를 확인합니다.

  = 의식여부 확인, 의식소실 시간, 증상 발생 당시 상황, 유발/완화 요인

  = 재발 여부

  = 투약 이력

- 우선 산소포화도를 포함한 활력징후를 측정합니다.

- 혈당을 측정합니다.

- 사지유도 심전도 모니터링을 합니다.(심장 문제일 수도 있기에)

- 기본적으로 심전도 측정기가 있는 경우 3 유도 심전도 검사를 시행합니다.

- 응급처치 방법

  = 기도를 유지하고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일 경우 저산소증 교정을 위해 비강(코안) 캐뉼러로 1~5L/min 또는 안면마스크 6~10L/min의 산소를 투여합니다.

  = 산소투여 후 산소포화도가 95% 이상이 안되면 비재호흡마스크를 이용하여 11~15L/min의 산소를 투여합니다.

  =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저혈량성 쇼크일 경우) 정맥로를 확보하여 수액을 투여합니다.

- 주의사항

  = 서있는 자세에서 혈압 측정 시(기립성 저혈압) 환자가 갑자기 쓰러져 외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뇌졸중 증상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신경학적 결손이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두부, 경추(목뼈) 손상 확인이 필요하며 손상이 확인되면 두부손상 처치 지침을 따릅니다.

  = 심각한 실신(심장성, 저혈량성 쇼크)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 환자의 경구로는 어떠한 것도 공급하지 않습니다.

 

+ 실신 환자의 경우 대부분 현장 도착하면 이미 의식이 돌아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 병력청취를 명확히 해주면 됩니다. 보통 상황에 따라서(예를 들어 상을 당했을 때 충격받아서, 술을 너무 많이 먹어서, 목욕을 너무 오래 해서, 땀을 너무 많이 흘려서, 운동을 오래 한 경우), 미주신경성 실신(전구 증상을 동반하면서), 출혈량이 많을 경우(외상으로 인해서)에 실신을 많이 합니다. 그럴 경우 혈압이 갑자기 떨어진 경우가 있으니 다리를 들어 혈류를 심장 쪽으로 흐르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처치 중에 쓰러질 가능성이 있어 환자가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에서 처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조이는 옷을 입고 있다면 느슨하게 풀어주고 머리를 옆으로 돌려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해줍니다. 이송 중에 환자분이 목마르다고 물 달라하는 경우가 있는데, 단순 실신이면 괜찮겠지만 다른 질병일 수도 있기에 검사를 위해서 물을 줘서는 안 됩니다. 빠르게 회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병원 가지 않고 집으로 가겠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빨리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천천히 수 초에 걸쳐 일어난 후에 어지럼증이 없으면 걷도록 합니다. 갑자기 일어나면 기립성 저혈압으로 또 쓰러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